나의/회고
-
상반기 데브이벤트 프로젝트 회고 (with UPF)나의/회고 2022. 6. 25. 17:08
0. 데브이벤트 웹 구경하기 https://dev-event.vercel.app/events Dev Event - 개발자 행사는 모두 데브이벤트 웹에서! 개발자를 위한 {웨비나, 컨퍼런스, 해커톤, 네트워킹}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dev-event.vercel.app 1. 데브이벤트 프로젝트에 합류 2022년 상반기, 데브이벤트 저장소를 고도화하는 사이드 프로젝트에 웹 프론트엔드 개발 , 서비스 기획자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개발자로 일한지 7개월, 회사에서 혼자 개발을 하다보니 점점 익숙한 기술, 방식에 안주하려는 제 모습이 보였어요.🤦 2년차 개발자로 뒤쳐지지 않기 위해, 또 새로운 기술을 자유롭게 써서 개발해보고 싶다는 생각으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구하던 중 데브이벤트 프로젝트라는 감사한 기회를 얻게..
-
스타트업에서 진행한 구글 디자인 스프린트를 회고하며 (디자인 스프린트를 해야하는 이유/ 디자인 스프린트에서 중요한 점)나의/회고 2021. 9. 17. 10:23
학부생 시절 3번의 구글 디자인 스프린트 캠프 참여, 스타트업에서 3번의 스프린트 프로젝트 참여를 회고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디자인 스프린트를 해야하는 이유 아이디어 빌딩을 하면 팀 내에서 의견을 조율하고 얼라인 해가는 과정에서 많은 토론이 진행된다. 특히 여러 직무가 섞여있거나, 열정넘치고 수평적인 관계의 팀원들이 여러 명 모여있을 경우 토론 시간이 더 길어진다..! 내가 생각하는 구글 디자인 스프린트의 장점은 이런 팀 내의 토론, 뇌피셜을 줄여준다는 것이였다. 각자 생각하고 투표하여 결정한다는 컨셉으로 팀원들과 토론없이 빠르게 의사결정할 수 있고 문제정의부터 유저테스트까지의 단계를 통해 아이템을 뇌피셜이 아닌 고객 반응을 통해 증명할 수 있어 좋았다! 내 경험에 빗대어 아래의 경우에 해당하는 팀에게 ..
-
-
6시간만에 3500명이상 유입된 대학교 특성 mbti 테스트 프로젝트나의/회고 2021. 6. 15. 19:04
웹 개발자가 되겠다는 마음으로 처음으로 시작한 프로젝트! 많은 시간 안 들이고 실제 서비스를 구현해볼 수 있는 아이템이 뭐가 있을까 고민하다 요즘 핫하고 내가 좋아하는 mbti테스트를 떠올렸다. 내가 다니는 대학교는 공동체 특징이 강하기 때문에 학교만을 위한 mbti를 만들면 너무너무 재밌을거 같았다! 그래서 상담심리 전공 친구를 영입해 함께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나는 웹 기획, 디자인, 개발을 맡았고 상담심리 친구는 내가 미리 생각해둔 질문지를 토대로 질문과 결과지를 만들어주었다 디자인 툴 : figma. 개발 툴 : react.js + firebase 0) 개발 단계 본래는 프론트에 react.js 백엔드에 node.js로 서버를 만들고 mysql과 닷홈의 무료 호스팅을 사용하여 개발했으나..! 용량이..
-
디자인 스프린트, 창업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장애물을 넘어보았다.나의/회고 2021. 3. 12. 15:43
내 인생 터닝포인트인 교수님과의 면담 이 후, 진행하는 프로젝트가 막혔을 때 어떻게 생각해야할까 - https://seizemymoment.tistory.com/m/42 장애물을 넘겠다는 목표와 함께 구글벤처스의 디자인 스프린트 캠프에 참여했다. 결론적으로 나는 디자인 스프린트 캠프을 통해 아이템을 코로나 상황에 맞게 피봇팅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1월, 구글 스프린트 캠프에 참여하다 구글 스프린트는 유저의 니즈에 맞게 빠르게 의사결정하여 기획하는 방법론을 의미한다. 프로세스를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1) 프로젝트의 문제점과 목표 설정 2) 목표를 이루기 위한 프로젝트의 장애물 정의 3) 사용자 플로우 중 어느 부분을 가장 먼저 해결해야할지를 파악 4) 해결책 도출 5)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유저테스트 진..
-
-
디자인 스프린트 캠프 1일차나의/회고 2021. 1. 18. 10:18
Problem In Team - hard to align with business objectives 목표 / 경험의 정도가 다름 - work toward unclear goal 열심히 하는데 잘하는지 모름 - teams lack real data on which to base business decisions 팀원들 간의 탁상공론 - pressure to be innovative but don't know how to start - lose enthusiasm and focus General project process idea - b..u....i.....l........d - launch - data Design Sprint idea - data idea를 통해 바로바로 data를 얻고 피봇팅 디자..
-
진행하는 프로젝트가 막혔을 때 어떻게 생각해야할까나의/회고 2021. 1. 16. 15:15
진행하는 프로젝트가 막혔다고 생각했을 때 이런 장애물이 있네 망했다 엎고 새로운거 하자! 가 아니라 이런 장애물이 있는데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 ? 가 좋은 사고방식이다. 상황적인 문제 때문에 창업 아이템의 타겟과 방향성을 바꾸게 되었고, 어떻게 하면 내 자식같은 아이템으로 피봇팅할 수 있을까 고민을 많이 했다. 기존의 아이템은 국내에서 가망이 없다고 생각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기획했는데 아이템 자체에 대한 매우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게 되었다. 기업가 정신 교육을 통해 실패를 발판으로 피봇팅을 해야한다고 배우긴 했는데 실제 그런 상황에 처하니 너무 막막했다. 처음 겪어보는 상황에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해야하는지 감이 잡히지 않았다. 혼자 고민을 하다 조언을 얻기 위해 창업을 경험하신 교수님을 찾아뵈었다.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