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경제] 2월 17일 기사 및 용어정리 (삼성전자 인공지능 반도체 개발 / HBM-PIM)나의/시사공부 2021. 2. 17. 23:25반응형
매일경제를 읽으며 관심있는 기사내용을 요약 및 용어정리합니다
삼성전자, 세계 최초 지능형 메모리 반도체 개발 성공
www.mk.co.kr/news/it/view/2021/02/156468/
삼성전자, 세계 최초 지능형 메모리 반도체 개발 성공
인공지능 HBM-PIM 제품화…메모리 반도체에 AI 연산 기능 탑재 기존 제품 대비 성능 2배 향상…ISSCC에서 논문 공개
www.mk.co.kr
1) 삼성전자는 17일 세계 최초로 메모리 반도체와 인공지능 프로세서를 하나로 결합한
HBM-PIM(Processing-in-Memory) 제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 PIM은 메모리 내부에 연산 작업에 필요한 프로세서 기능을 더한 융합기술이다.
- PIM 기술을 활용해 HPC와 HBM2(High Bandwidth Memory) 아쿠아볼트(Aquabolt)에
인공지능 엔진을 탑재한 HBM-PIM을 개발했다.
2) 기존 HBM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지원해 HBM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변경 없이
HBM-PIM을 사용해 강력한 AI 가속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3) 삼성전자는 기존의 폰 노이만 구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메모리 내부의 각 뱅크(주기억장치를 구성할 때의 최소 논리적 단위)에 인공지능 엔진을 장착하고 병렬처리를 극대화해 성능을 높였다.
- 인공지능의 응용 영역이 확대되고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고성능 메모리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커져 왔다.
- HBM-PIM은 메모리 내부에서 연산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CPU와 메모리 간 데이터 이동이 줄어들어
AI 가속기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4) 삼성전자는 상반기내 다양한 고객사들의 AI 가속기에서 HBM-PIM을 탑재해 테스트 검증을 완료할 예정이다.
HPC (high-performance computing)이란?
고급 연산문제를 풀기 위해 슈퍼컴퓨터 및 컴퓨터 클러스트과 같은 대용량의 컴퓨팅 리소스를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병렬로 작동하는 서버 클러스터를 사용한다. 딥러닝(Deep Learning),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등의 분야와
제품 모델링, 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등 고도의 기술력과 계산이 필요한 많은 분야에서 사용한다.
HBM2란?
HBM2(High Bandwidth Memory) Aquabolt란 삼성전자가 양산한 2세대 고대역폭 메모리 반도체를 말한다.
AI 등 초고속 데이터 분석에 주로 활용된다.AI 가속기란?
AI 가속기란 AI 하드웨어 연산장치이며 컴퓨터 주 시스템 연산장치인 CPU를 보완하는 보조 연산장치를 의미한다.
GPU가 그 예시이다.
폰 노이만 구조란
폰 노이만 구조는 중앙처리장치 (CPU) , 메모리, 프로그램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CPU과 메모리가 서로 분리되어 있고 그 둘을 연결하는 버스를 통해 CPU가 데이터를 다룬다.
m.blog.naver.com/with_msip/221981730449
반응형'나의 > 시사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경제] 2월 21일 기사 및 용어정리 (데이터라벨링 기업 / AI 학습용 데이터 / 크라우드소싱이란 / 추가경정예산이란) (0) 2021.02.21 [매일경제] 2월 18일 기사요약 및 용어정리 (타다 금지법 / 모빌리티 서비스 사업) (0) 2021.02.18 [매일경제] 2월 16일 기사 및 용어정리 (주택 담보 대출 금리 / 코픽스 / 가중평균금리/ 실세금리 / 국고채금리 /여신상품 / 수신상품) (0) 2021.02.15 [매일경제] 2월 15일 기사 및 용어정리 (3D프린터 건설 / 비트코인 ETF) (0) 2021.02.15 [매일경제] 2월 14일 기사 및 용어정리 (미국증시 3배 ETF 투자규모 증가 / 인버스와 곱버스 / 선물거래란 / 롤오버란) (3) 2021.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