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경제] 2월 16일 기사 및 용어정리 (주택 담보 대출 금리 / 코픽스 / 가중평균금리/ 실세금리 / 국고채금리 /여신상품 / 수신상품)나의/시사공부 2021. 2. 15. 20:56반응형
- 코픽스란?
- 금리 / 가중평균 금리란?
- 여신 상품 / 수신상품이란?
- 실세금리 / 국고채 금리란?
매일경제를 읽으며 관심있는 기사내용을 요약 및 용어정리합니다
시장금리 오르는데 내 주담대 금리는?
www.mk.co.kr/news/economy/view/2021/02/149820/
1) 시장 실세금리는 오름세를 보이고 있지만 은행의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산정할 때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큰 폭으로 떨어졌다.
-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1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0.86%로 전달 대비 0.04%포인트 하락했다.
-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 금리는 지난해 6월 사상 처음 0%대에 진입한 이후 여덟 달째 0%대를 기록하고 있다.
2) 실세금리는 올랐다.
- 국고채 3년물 금리는 0.003%포인트 오른 0.998%, 국고채 5년물 금리는 0.025%포인트 오른 1.362%로 마감했다.
3) 금융권에서는 코픽스 금리가 전달 실세금리를 반영하는 것과
코픽스에서 비중이 큰 은행들 예금금리가 떨어진 것이 코픽스 금리 하락 원인으로 보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
- 코픽스 결정 요인 가운데 80%를 차지하는 예금금리가 소폭 내린 데다 채권시장에서 은행채 조달금리까지 하락하며
지난달 코픽스 금리가 예상보다 많이 떨어졌다
- 연초 은행들의 자금 수요가 크지 않다.
- 최근 같은 주식·부동산 호황 장세에서는 금리를 조금 더 준다고 예금을 드는 수요자도 많지 않다.
코픽스란?
국내 8개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IBK기업·SC제일·한국씨티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이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과 은행채 등 수신 상품의 금리 변동이 반영된다.
코픽스가 떨어지면 은행이 적은 이자를 주고 돈을 확보할 수 있다는 뜻이다.
금리란?
이자의 원금에 대한 비율로서 경제에서 자금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돈을 빌리려는 사람이 많거나 돈을 빌려주는 사람이 줄어들면 금리가 오른다.
가중평균 금리란?
시장에서 접하게 되는 금리의 종류는 금융기관별, 만기별, 상품종류별로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현재 금리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대표성 있는 금리지표,
즉 다양한 금융기관과 금융상품을 포괄하는 평균금리가 필요하다.
한국은행에서 매월 발표하고 있는 가중평균금리란
금융기관에서 취급하는 금융상품의 금리를 금융상품의 금액 비중으로 가중치를 두어 평균한 금리를 말한다.
신규로 취급한 상품의 금리만을 평균한 것이 신규취급액기준이고
전월까지 발생한 모든 여수신을 대상으로 할 경우 잔액기준이 된다.
여신 / 수신상품이란?
수신상품은 은행에서 돈을 받고 판매하는 상품이며 대표적인 수신상품은 예금, 저축, 보험이 있다.
다른 금융상품에 비해 입출금이 자유롭기 때문에 유동성이 유리하다.
여신상품은 은행에서 돈을 주고 판매하는 상품으로 금융 기관에서 고객에게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상품을 의미한다.
실세금리란?
실세금리란 규제금리의 상대 개념으로 시장에서 자금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는 시장금리를 말한다.
따라서 실세금리는 그날 그날의 자금사정에 따라 금리의 변동이 크다.3년물 국고채 금리, 3년만기 국고채 유통수익율 등이 실세금리를 대표한다.
국고채 금리란?
정부가 필요한 만큼 세금이 걷히지 않을 때 국고채를 발행해서 돈을 빌릴 때의 금리를 국고채 금리라고 한다.
예를 들어 국고채금리가 3%라면 대한민국 정부가 국민들에게 3%의 금리를 주고 돈을 빌리고 있다는 의미이다.
국고채 금리란 대출금리의 기준으로 국고채 금리보다 더 높은 금리가 된다.
3년만기 국고채금리란 대한민국 정부가 3년동안 돈을 빌리 때의 금리,
5년만기 국고채금리는 5년동안 돈을 빌릴 때의 금리를 뜻한다.
참고 및 출처
blog.naver.com/mk9501/60001160234
writtenbyjaypark.tistory.com/72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091225000152
http://econolatte.tistory.com/43반응형'나의 > 시사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경제] 2월 18일 기사요약 및 용어정리 (타다 금지법 / 모빌리티 서비스 사업) (0) 2021.02.18 [매일경제] 2월 17일 기사 및 용어정리 (삼성전자 인공지능 반도체 개발 / HBM-PIM) (1) 2021.02.17 [매일경제] 2월 15일 기사 및 용어정리 (3D프린터 건설 / 비트코인 ETF) (0) 2021.02.15 [매일경제] 2월 14일 기사 및 용어정리 (미국증시 3배 ETF 투자규모 증가 / 인버스와 곱버스 / 선물거래란 / 롤오버란) (3) 2021.02.14 [매일경제] 2월 13일 기사 및 용어정리 (연기금 순매도 / 연기금이란?) (0) 2021.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