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경제] 2월 14일 기사 및 용어정리 (미국증시 3배 ETF 투자규모 증가 / 인버스와 곱버스 / 선물거래란 / 롤오버란)나의/시사공부 2021. 2. 14. 15:32반응형
- ETF / 인버스 / 곱버스
- 미국증시 TQQQ / SQQQ이란
- 선물거래란 / 매수차익거래란
- 롤오버란 / 롤오버비용이란매일경제를 읽으며 관심있는 기사내용을 요약 및 용어정리합니다
"곱버스도 시시하다"…韓 불개미들, 美 3배 ETF 6700억 쐈다
www.mk.co.kr/news/stock/view/2021/02/143780/
1) 10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에 따르면 미국 증시에 상장된 TQQQ의 매수·매도 결제금액은 3억7953만달러(한화 약 4236억원)를 기록했다.(연초 이후 지난 9일까지). 지난해 같은 기간 거래금액 827억원보다 5배 이상 급증했다.
한국예탁결제원(Korea Securities Depository, KSD)이란
국내 유일한 유가증권 중앙예탁기관으로, 금융위원회 산하 공공기관이다.
법률에 따르면 증권등의 집중예탁과 계좌 간 대체, 매매거래에 따른 결제업무 및 유통의 원활을 위하여 설립되었다고 하며
나무위키에 따르면 주식 실물은 예탁결제원에 맡겨버리고
주식회사들은 간단하게 장부상으로만 주식을 관리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라고 한다.2) 국내 증시에서 `곱버스 투자 열기가 좀처럼 식지 않는 가운데 더 공격적인 성향의 투자자들이 초고위험 상품을 찾아 미국 증시로 향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ETF란 (Exchange Traded Fund)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하여 주식과 동일하게 매매를 통해서 투자가 가능하도록 만든 상품이다.
원래 가지고 있는 펀드로서의 특성에 주식으로서의 특성이 더해졌다.
펀드와 같이 매일의 기준가격을 산정하며 주식과 같이 시간 및 가격을 고객이 선택할 수 있다.인버스란
인버스 ETF는 증시가 하락할 경우 수익률을 내는 상품이다. 지수가 1% 하락할 때 1% 수익을 낸다.
KOSPI200지수 관련 장내선물과 합성선물의 매도 포지션으로 운용하며 매도 포지션이라는 것은 선물을 매도하는 것과 같다.곱버스란
곱버스 ETF는 인버스의 레버리지이며 하락률의 2배를 수익률로 제공한다. 지수가 1% 하락할 때 2%의 수익을 낸다.
시장이 하락할 것이라는 강력한 확신이 있을 때 투자해야한다.3) TQQQ의 거래 규모는 코스피 지수의 2배를 추종하는 국내 상장 레버리지 ETF 가운데
`TIGER 레버리지 ETF`(4597억원)와 비슷하고 `KINDEX 레버리지 ETF`(298억원) 보다 훨씬 크다.
TQQQ란
나스닥100 지수의 3배를 추종하는 ETF다. 나스닥 100 지수가 1% 상승하면 3%의 수익이 나도록 설계된 상품이다.
이 지수가 1% 하락하면 손실도 -3%로 커진다.4) SQQQ는 `TIGER 인버스 ETF`(882억원), `KINDEX 인버스 ETF`(150억원), `ARIRANG 200선물인버스2X ETF`(360억원) 등의 거래 규모를 크게 앞지르고 있다. SQQQ의 거래규모도 2억2663만 달러(한화 약 2530억원)에 달했다.
SQQQ란
TQQQ와 반대로 나스닥 100 지수의 3배를 역으로 추종하는 상품이다.
나스닥 100 지수가 1% 하락하면 3%의 수익을 내고 1% 상승하면 3%의 손실이 발생한다.5) 서학개미들의 3배 레버리지 ETF 투자가 가파르게 늘고 있는 데 대해 우려하는 시각이 적지 않다.
- 레버리지 ETF는 선물·옵션 만기에 따른 거래비용(롤오버 비용)이 크다. 3배 레버리지 ETF의 롤오버 비용은 일반적인 ETF의 3배다.
- 수수료도 1% 안팎으로 ETF 가운데 가장 비싼 수준이다.
- 장기 투자로 손실 회복을 기다릴 수 있는 주식과는 달리 레버리지 ETF는 장기 투자시 손실이 더 불어날 수 있다.
선물거래란?
규격, 품질, 수량 등이 표준화되어 있는 특정 대상물을 계약체결 시 정한 가격(선물가격)으로
미래 일정시점에 인도 및 인수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이다.
인버스의 경우 선물을 매도한 후 상품 가격이 하락할 때마다 차익을 얻게 된다.롤오버란?
롤 오버(Roll-Over)는 채권이나 계약 등에 대해 당사자 간의 합의에 의해 만기를 연장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선물계약과 연계하여 매수차익거래 등의 포지션을 청산하지 않고 다음 만기일로 이월하는 것을 말한다.매수차익거래란?
선물을 팔고 동시에 현물(KOSPI200에 속한 종목들)을 사서 무위험 차익을 보는 매매기법이다.
선물가격이 높고 현물이 낮은 상황에서 `선물매도-현물매수'의 매매를 하게 된다.
롤오버 비용으로 인해 선물만기일에 선물과 현물 가격이 같아지는 현상을 이용해 반대로 매매함으로써 이익을 취하는 것이다.롤오버비용이란?
예를들어 롤오버를 위해 12월보다 12$가 더 높은 3월물의 현물을 매매한다고 가정하자.
매매 후 12월물의 선물이 25$로 폭등할 경우
롤오버 전에 12월물이 25$폭등해서 매도했을 때의 이익과
롤오버한 후 12$ 높은 3월물의 현물로 이익을 보았을 때 가격의 차이를 롤오버 비용이라고 한다.
따라서 12월물 만기일에 3월물로 이전된 롤오버 물량이 많다는 것은투자자가 증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음을 의미하며
만기가 짧은 상품일수록 거래량이 풍부하고 원활하게 운용할 수 있기 때문에롤오버를 통해 다양한 전략을 세우는 경우도 있다.
참고 및 출처
www.kosef.co.kr/etf/
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00511_0001020022#_enliple
www.bnkfn.co.kr/workshop/futuresIntro.jsp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7658&cid=43667&categoryId=43667
punchout.tistory.com/34반응형'나의 > 시사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경제] 2월 16일 기사 및 용어정리 (주택 담보 대출 금리 / 코픽스 / 가중평균금리/ 실세금리 / 국고채금리 /여신상품 / 수신상품) (0) 2021.02.15 [매일경제] 2월 15일 기사 및 용어정리 (3D프린터 건설 / 비트코인 ETF) (0) 2021.02.15 [매일경제] 2월 13일 기사 및 용어정리 (연기금 순매도 / 연기금이란?) (0) 2021.02.13 [매일경제] 2월 12일 기사 및 용어정리 (하이퍼커넥트의 기술기업 표방 / WebRTC이란 / 코로나로 인한 교육격차) (0) 2021.02.12 [매일경제] 2월 11일 기사 및 용어정리 (KT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란?) (0) 2021.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