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경제] 2월 13일 기사 및 용어정리 (연기금 순매도 / 연기금이란?)나의/시사공부 2021. 2. 13. 19:56반응형
매일경제를 읽으며 관심있는 기사내용을 요약 및 용어정리합니다
증시 큰 손 연기금 32일째 순매도…언제쯤 멈출까?
www.mk.co.kr/news/economy/view/2021/02/143842/
증시 큰 손 연기금 32일째 순매도…언제쯤 멈출까?
국내 연기금이 국내 주식시장서 32영업일 연속 주식 순매도를 기록하며 사상 최장 기록을 연일 경신하고 있다. 전체 투자자금 중 국내 주식 투자 비중을 일정 비율 수준으로 맞춰야 하기 때문이
www.mk.co.kr
1) 지난해 12월 24일 이후 이 달 2월 10일까지 코스피 지수는 2759.82에서 3100.58로, 코스닥 지수는 923.17에서 964.31로 각각 12.35%와 4.46% 올랐다.
2) 국내 연기금이 국내 주식시장서 32영업일 연속 주식 순매도를 기록하며 사상 최장 기록을 연일 경신하고 있다.
- 주가가 올라감에 따라 평가액이 커지고 커진 평가액으로 인해 투자 비중이 높아지면 자동으로 이를 팔아 국내 주식 투자 비중을 일정 비율 수준으로 유지하는 구조다.
- 주가 하락으로 평가액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투자 비중이 낮아지면 이를 높이기 위해 기계적으로 주식을 되산다.
3) 국민연금은 기금운용 위원회에서 국내 주식 비중을 2020년말 17.3%에서 2021년말 16.8%로 줄이고 오는 2025년말까지 15% 안팎으로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4) 국내 주식 비중이 줄었지만 전체 투자 규모가 줄어든 것은 아니다. 올해말 투자목표 금액은 작년대비 142조5000억원으로 4조8000억원 가량 늘리는 것이 목표다.
- 투자금액을 늘리는 이유는 국민들이 납부하는 신규 연금이 투자원금으로 계속 유입되기 때문이다.
- 국민연금이 보유한 국내주식 평가금액이 당초 목표치인 137조7000억원이라고 가정할 때 주가가 10% 올랐을 때 13조7700억원이 된다. 따라서 목표한 전체 투자 규모를 맞추기 위해 국내 주식을 기계적으로 판다.
연기금이란
연금기금 (年金基金, pension fund, superannuation fund)의 약자로,
연금제도에 의해 모여진 자금으로서 연금을 지급하는 원천이 되는 기금을 말한다.
모든 연기금은 제도적 기반 또는 가입자 특성에 따라 각각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연기금은 운용목적을 명확히 하고 이에 부합하는 목표수익률과 위험감내수준을 설정한다.
우리나라는 노후 보장의 목적이 크지만 모든 나라가 목적이 같지 않다.
싱가포르는 ‘장기 관점에서 정부 예비자금(reserves)의 국제 구매력을 유지 또는 확대하는 것’을 지향점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글로벌 주식과 채권에 각각 65%, 35%를 투자한다’고 기준 포트폴리오를 설정했다.
연기금은 핵심 자산군에 대해 투자비중을 결정하는 전략적 자산배분을 한다.
각 자산군별 기대수익률과 서로 다른 자산군 간 상관관계 및 분산투자 효과를 추정하고,
연기금의 목표수익률과 위험감내수준에 부합하도록 자산군별 최적비중을 산출하는 것이다.
국내 국민연금은 2020년 목표 포트폴리오로 국내주식 17.3%, 해외주식 22.3%, 국내채권 41.9%, 해외채권 5.5%, 대체투자 13.0%를 제시하고 있으며, 동 포트폴리오의 특성치를 기대수익률 4.8%, 위험 6.2%, 손실확률 22.1%라고 추산하고 있다
전략적 자산배분 단계에서 설정한 범위 안에서 자산군별 투자비중을 바탕으로
펀드매니저가 세부 종목선택, 매수ㆍ매도 타이밍 선정 등 같이 시장상황에 대응하거나
이를 적절히 이용하여 초과수익(alpha)을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출처
www.kcmi.re.kr/publications/pub_detail_view?syear=2019&zcd=002001016&zno=1468&cno=5232
개인과 연기금의 투자방식 비교: 전략적 자산배분의 중요성 | 자본시장포커스 | 발간물 | 자본시
통상 대형 연기금은 단계별 의사결정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데, 그 핵심은 운용목적에 부합하는 목표수익률과 위험감내수준을 설정하고 전략적 자산배분을 통해 자산군별 최적투자비
www.kcmi.re.kr
반응형'나의 > 시사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경제] 2월 15일 기사 및 용어정리 (3D프린터 건설 / 비트코인 ETF) (0) 2021.02.15 [매일경제] 2월 14일 기사 및 용어정리 (미국증시 3배 ETF 투자규모 증가 / 인버스와 곱버스 / 선물거래란 / 롤오버란) (3) 2021.02.14 [매일경제] 2월 12일 기사 및 용어정리 (하이퍼커넥트의 기술기업 표방 / WebRTC이란 / 코로나로 인한 교육격차) (0) 2021.02.12 [매일경제] 2월 11일 기사 및 용어정리 (KT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란?) (0) 2021.02.11 [매일경제] 2월 10일 기사 및 용어정리 (디지털 화폐란?/CBDC) (1) 2021.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