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경제] 3월 12일 기사 요약 및 용어정리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란 / 쿠팡 IPO 최고실적 / 실질금리와 금 값 / 스냅챗 주가상승 )나의/시사공부 2021. 3. 12. 17:06반응형
매일경제를 읽으며 기사를 요약 및 용어정리합니다.
뉴욕증시 데뷔 쿠팡, 공모가보다 40.7% 상승…시총 100조원(종합2보)
www.mk.co.kr/news/stock/view/2021/03/237241/
- 쿠팡은 이번 기업공개(IPO)에서 45억5천만달러(약 5조1천678억원)를 조달하면서 올해 최고 실적을 냈다.
2019년 우버 이후 뉴욕증시 최대 규모이다.
-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된 쿠팡 주식은
공모가인 35달러에서 40.71%(14.25달러) 오른 49.25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약세 보이는 금…"실질금리 향방에 달렸다"
www.mk.co.kr/news/stock/view/2021/03/237157/
- 지난 해 금값이 장기적으로 3000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과는 다르게
11일(현지시간) 금 현물가는 전일 대비 0.19% 하락한 온스당 1722.7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 금은 물가 상승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서 기대 인플레이션과 양의 상관성을 갖는 반면,
무이자자산이기 때문에 금리와는 역상관성을 지닌다. 즉 화폐가치가 떨어져도 금리가 올라오면 같은 안전자산군 내에서 채권 대비 매력도가 떨어지게 된다.
- 하나금융투자는 금값의 향방이 실질금리에 달려있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실질금리가 상승하고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서 금값의 하락 압력이 높아진 만큼 당분간 금 매수는 하단을 확인한 후에 진입하는 전략을 권고했다.
헤지란?
헤지(hedge)란 환율, 금리 또는 다른 자산에 대한 투자등을 통해 보유하고 있는
위험자산의 가격변동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위키피디아)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란?
명목금리란 우리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저축금리, 주택담보대출금리, CD금리처럼
화폐단위로 원금과 이자를 계산하여 양자의 비율에 의해 계산된 이자율을 말한다.
하지만 화폐의 가치는 계속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화폐단위 만으로는 실질적인 가치를 평가할 수 없다.
실질금리는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재화와 서비스의 양이라는 실질변수를 이용해
명목금리에 물가상승률을 감안하여 금리를 조정한 것을 의미한다.
즉,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기대 인플레이션(경제주체들의 물가에 대한 전망)을 뺀 값이라고도 말할 수 있기 때문에
명목금리가 기대 인플레이션보다 빠르게 올라온다면 실질금리도 상승한다.
eiec.kdi.re.kr/material/clickView.do?click_yymm=201512&cidx=1853
(예시)
금융통화 위원회 - 인플레이션이 1% 높아질 가능성에 대비해 이자율을 1% 높이기 결정했다.
물가가 1% 상승할 것이라 예측되는데 이자율을 높이지 않으면 돈의 가치인 실질이자율(돈의 가치)은 1%포인트 떨어지게 될 것(-1%)이다. 눈에 보이는 금액(명목금리)은 같아도 실질적인 화폐의 가치는 1% 줄어드는 것이다.
즉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 구매력이 떨어진다.
금융통화 위원회는 전통적인 통화정책으로 돈의 구매력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플레이션 변화분만큼
이자율을 조정해준다.
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941
코로나에 시총 4배로…113조원 AR제국 일군 스냅챗
- 코로나19로 AR 기술이 주목받으면서 수년 내 5세대(5G) 인프라스트럭처가 받쳐주면 스냅챗 진가가 나타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온다
- 실제 쇼핑 물품들을 모바일 화면 속에서 시착할 수 있는 AR 서비스를 내놨다. 이러한 AR를 활용한 커머스와 비주얼 광고가 스냅챗의 성장동력이라고 분석된다.
AR 렌즈
사진·영상을 찍는 스마트폰 카메라에 입히는 특수효과다.
로컬 렌즈
머신러닝과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동원해 3D 지도로 재구성한 도시 공간을 이용자가 아티스트처럼 페인팅할 수 있도록 개발한 특수효과이다.
반응형'나의 > 시사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경제] 3월 14일 기사 요약 (블록체인게임 / 비대면 약 배달) (0) 2021.03.14 [매일경제] 3월 3일 기사 요약 (통신 3사 원스토어 지분투자 / 데브온 NCD) (0) 2021.03.03 [매일경제] 2월 21일 기사 및 용어정리 (데이터라벨링 기업 / AI 학습용 데이터 / 크라우드소싱이란 / 추가경정예산이란) (0) 2021.02.21 [매일경제] 2월 18일 기사요약 및 용어정리 (타다 금지법 / 모빌리티 서비스 사업) (0) 2021.02.18 [매일경제] 2월 17일 기사 및 용어정리 (삼성전자 인공지능 반도체 개발 / HBM-PIM) (1) 2021.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