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 파일 형식 정리 (Image file formats)UI UX 디자인 2020. 6. 17. 17:05반응형
JPG
손실 압축으로 압축률이 뛰어나기 때문에 이미지 용량 줄이는데 용이
표현 색상도가 (24bit)가 좋아 고화질 사진이나 예술 쪽에서 많이 쓰임
PNG
비손실 압축
알파채널이 지원되기 때문에 이미지의 투명도가 필요할 경우 용이
GIF
애니메이션이나 움짤에 용이
8bit만 지원하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 구현에 어려움 있음
WEBP
JPG PNG GIF를 대체할 수 있는 구글에서 개발한 이미지 포맷
단, 지원하는 브라우저 제한
SVG
벡터 기반의 이미지로 이미지에 대한 정보 저장
- 해상도 영향에서 자유로움 -> 크로스 디바이스 반응형 웹에서 사용 용이
코드나 파일로 이미지 사용가능
- xml 코드 수정으로 간단한 수정 가능하며 Java script로 event handling 가능하다(제어가능하다)
단, 코드로 이미지 생성이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일러스트 같은 벡터 툴 사용
반응형'UI UX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사이트] UX의 심리학의 법칙 (0) 2022.03.23 svg 파일 형식을 사용하는 이유 (0) 2022.02.09 [Material Design] 구글 머테리얼 폰트(Material Font)와 아이콘(Material Icon) 적용 (0) 2021.04.20 [Material Design] 개발자/ 디자이너가 협업할 때 중요한 Figma 의 주요 기능 (style / component / const (0) 2021.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