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시사공부

[매일경제] 1월 30일 뉴스 ( 삼성 시스템 반도체 투자 / 주식 투자 비법 )

ohbox 2021. 1. 30. 19:21
반응형

 

매일경제를 읽으며 관심있는 기사내용 2개를 요약 및 용어정리합니다.


삼성의 예측은 맞았다…2년전 시스템반도체 133조 투자선언 [위크+]

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1/99107/

 

삼성의 예측은 맞았다…2년전 시스템반도체 133조 투자선언 [위크+]

2019년 시스템반도체 비전 선포 "R&D 73조·시설에 60조원 투자 1만5천명 채용·반도체 생태계 강화 2030년까지 세계 1위 달성하겠다" 첨단 기술·제품 개발 등 성과 잇따라 車반도체 등 품귀 등 시장여

www.mk.co.kr

1) 2019년 4월 30일 `시스템 반도체 비전 선포식`에서  2030년까지 연구·개발(R&D)에 73조원과 생산시설 60조원 등 총 133조원을 투자해 시스템 반도체에서도 글로벌 1위를 달성하겠다는 `반도체 비전 2030`을 발표

 

2) 첨단 기술·제품 개발 등 성과 잇따라

> 지난 4월 사상 최초로 반도체 매출 중 25%를 넘어섬. 5나노 첨단공정 반도체 양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와 CMO 이미지센서 신제품 출시.

 

3) 시장 여전 좋아짐

> 글로벌 팹리스들 극자외선 노광장비(EUV)를 이용한 7나노 이하 초미세 반도체 탑재비율 높아짐 

> 언택트 수요 증가로 고성능컴퓨팅(HPC), 스마트폰, 게임 콘솔 등의 시장 확장세가 가팔라짐 -> 반도체가 없어 공장이 셧다운 될 정도로  글로벌 파운드리 수요가 급증함 ex) 미국 포드 자동차 브라인 현지공장 3곳 폐쇄

 

4) 삼성은 사법 리스크로 다시 오기 힘든 `골든 타임`을 허비할 위기에 처해 있다.

기회를 살리기 위해서는 조(兆) 단위의 과감한 파운드리 투자가 시급하지만 총수 부재로 의사 결정 차질이 우려된다.

 

시스템 반도체란? 

- 연산·논리작업 등과 같은 정보처리를 담당하는 비메모리 반도체로 소품종 대량생산 체제인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다품종 소량생산되는 게 특징이다. 
-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메모리의 비중은 35%에 불과하며 나머지 65%는 시스템 반도체가 차지하고 있다.
- 인텔(CPU), 퀄컴(모바일프로세서), TSMC(파운드리) 등이 대표적인 시스템 반도체 업체들이다.
- 국내 반도체 시장은 메모리 반도체에 있어서는 최강이지만 시스템 반도체에는 점유율 4%로 낮다.

팹리스란?

반도체의 설계, 생산, 조립•검사, 유통 과정 중 반도체 설계를 전문적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삼성전자는 모든 과정을 다 하는 종합반도체회사(IDM)이다. 

www.samsungsemiconstory.com/2225

 

파운드리? 팹리스? 반도체 생태계 한눈에 보기!

‘파운드리’, ‘팹리스’, ‘디자인하우스’ 반도체 산업 관련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이 단어들은 반도체 기업 형태를 일컫는 말입니다. 반도체는 고도의 기술을 다루고 있는 만큼 여러 형

www.samsungsemiconstory.com

 


 

"1000만원이 7년후 1억" 슈퍼개미의 주린이 투자비법

 

www.mk.co.kr/news/economy/view/2021/01/98772/

 

"1000만원이 7년후 1억" 슈퍼개미의 주린이 투자비법

[머니콕] 샌드타이거샤크 인터뷰 1편

www.mk.co.kr

 

- 코스피가 3000선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으며

외국인·기관의 차익실현 매물이 나올 때마다 개인투자자가 하루 수조 원씩 매물을 받아내면서 지수를 지탱하는 모양새다.

 

 

1) 신문을 통해 향후 3~5년 뒤 실적이 개선될 기업을 찾아낼 것 

 

- 미래 실적 대비 저평가된 기업을 찾을 것 =  미래 PER가 낮은 기업, 배당률이 높은 기업

- 과거보다 미래 실적을 예측해서 PER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 1~2년 실적을 기반으로 장기적인 추세를 알려주는 신문기사를 많이 읽을 것 

 

주가수익비율(PER)
시가총액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값이다

 

시가배당률
배당금을 현재 주가로 나눈 값이다. 
배당금이 500원인데 현재 주가가 1만원이면 시가배당률은 5%입니다.

 

배당금 
회사가 회사의 실적에 따라 이윤의 일부를 주주에게 나누어주는 것을 말한다.

 

 

2)  유상증자가 아닌 처음부터 수익을 낼 수 있는 종목에 들어가야 할 것 

 

- 주가보다 시가 총액이 더 중요함

주당 1만원짜리 주식이 10주면 시가총액은 10만원인데 주식 수가 20주로 늘어나면 시총은 그대로인데 주가는 5000원으로 낮아진다. 유상증자일 경우 주가를 높이기가 힘듬 

 

- 당기순손실이 나는 기업은 피해야 한다.

적자 -> 유상증자 비율 , 사채 발행 주식 수 늘릴 가능성 높음

 

- 재무비율 ( 부채비율 / 당좌비율 )을 확인할 것 

 

- 4-3-3 비율 

40%는 현재 공격적으로 투자할 종목 (반도체)

40%는 다음 순환매 장세에서 오를 종목 (전기차)

30%는 현금

 

유상증자
회사가 어려우니까 돈을 받고 주식을 파는 행위

 

 

3) 단번에 큰 돈을 굴리지 말고 원금 1000만원 한도로 분기당 10%의 수익률을 목표로 정할 것 

 

 

 

 

 

 

 

 

 

 

반응형